[boostcourse] Day10 학습기록_minibatch28

Date:


학습 내용

  • Generative model


스페셜 피어세션 👨‍👨‍👦(with 10조, 38조)

오늘은 다른 캠퍼분들과 함께하는 스페셜 피어세션 시간이 있었다.

다른 팀에서는 어떻게 피어세션을 진행하는지 여러 얘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,

AI 분야 관련해서 각자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 팀도 있었고, 현재 강의에 집중해서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는 팀도 있었다.

다른 팀의 좋은 점들을 보고 벤치마킹 해서 우리 피어세션을 좀 더 풍성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.


피어세션 👨‍👨‍👦‍👦 👨‍👨‍👦 - 2주차 팀 회고

모더레이터 : 권예환

참가자 : 강재현, 권예환, 김준태, 박마루찬, 서광채, 장동건, 홍요한

잘했던 점

  • 선택과제가 어려웠지만, 하나를 맡아 발표를 위해 계속 분석하면서 구조를 이해하고 이론을 코드로 만드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 좋았다.

  • 강의말고 따로 이것저것 해보자는 논의가 계속 나오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.

  • 월요일에 광채님께서 CNN에 관해 ppt 발표를 해주셔서, 이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. 이를 통해 수업을 듣기 전에 예습을 하고 듣는 게 이해가 더 잘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

  • 선택과제를 나눠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서, 과제를 안 하는 날이 없이 항상 공부를 하게 되는 느낌이 좋았다.

  • 선택 과제에 대해 어려웠지만 각자 열심히 분석해서 코드까지 작성한 점을 칭찬하고 싶다.

아쉬운 점

  • 선택과제를 어떻게든 하려 하다보니 강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 피어세션에 오는 경우가 잦았다. 선택 과제에 대한 부담이 컸다.

  • 선택과제 1,2,3을 나눠서 했는데 난이도가 있어서 하루만에 해결 못해서 다른 사람의 과제 설명을 들을 떄는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들었다.

-> 궁금한 것도 생기지 않고 이해가 안되고 전달이 잘 안됐다.

3주차에 시도할 점

  • 피어세션 혹은 피어세션 이후의 시간대에, 그 날의 모더레이터가 다음 날의 배울 내용에 대한 정보가 담긴 사이트 링크를 공유한다. 모더레이터 아니더라도 개인적으로 예습했다면 공유한다.

  • 각자 강의에 대한 질문거리를 의무적으로 준비한다. 질문을 준비하며 강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질문을 통해 남들과 공유한다. 만약 질문만으로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하면 발표를 준비하자.

  • Slack을 활성화하자. 개인적으로 공부하다 발견한 유용하거나 흥미로운 사이트 같은 것도 자주 공유하고, 특히 공부 내용뿐만 아니라 개인적인 내용도 자주 올리자.

  • 주말에 활동한 것 중 사진 하나 찍어서 아무거나 한 장 올린다.

  • 강의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활동들은 하면 좋으나, 피어세션 때 모두 하기는 힘들고 활동 내역이 그때그때 바뀔 수 있으니, 개인이 필요에 따라 시도하고 결과를 공유한다.

추가로 시도할 만한 사항

  • 선택과제를 각자 풀이할 때, 개념 위주로 설명하면 좋을 것 같다.

: 선택과제가 몇 개 나올지, 어떤 식으로 나올지 몰라 일단 나오는 걸 보고 상의

  • 논문 구현 등의 활동도 해보자

: 다른 활동과 같이 할 수 있을지, 그 외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보고 결정


회고록

To know what we do know and we do not know

안다는 것은 우리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아는 것이다.

-공자-

오늘 멘토링 시간이 주어져서 멘토님께 질문을 하기 위한 질문을 만들어 보았다. 질문을 만드려고 보니, 내가 뭘 알고 모르는지에 한 번더 확인하는 과정에서 머리속이 정리되는 걸 느꼈다. 질문을 정리하다 보니 내가 알아 볼 수 있는 부분들이 있었고, 그 부분들을 찾다보니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었다.

나는 잘 모르니까 그냥 이 부분은 질문해야겠다. 미뤄둔 문제들도 어떻게 질문할지 고민하다보니 다 해결책이 있었다. 질문을 만드는 공부법도 자세하게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인것 같다.


💡 수정 필요한 내용은 댓글이나 메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!💡 

댓글